< 목록으로

한글 모음의 원리

2
한글정쌤
2023.03.28
추천 0
조회수 1413
댓글 0

한글 모음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제가 어렸을 때는 한글 자모음의 원리에 따라서 한글을 배우지 않고, 통 글자로 노트에 써가면서 외워서 한글을 배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은 많은 연구 결과에 따라서 한글을 처음 배울 때 모음부터 배우고, 세종대왕의 창제 원리에 따라서 아이들에게도 한글을 지도합니다. 오늘 여러분들과 같이 공유하고 싶은 첫 시간 주제는 한글의 모음 원리입니다. 

한글을 처음 배우게 될 때는 모음부터 시작합니다. 그런데 그 모음을 그냥 글자를 써가면서 외우는 것이 아니라 처음 만들어질 때 세종대왕이 마음에 품고 원리로 삼았던 그 내용을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그것을 토대로 지도합니다. 먼저 한글 모음의 창제 정신은 사람과 땅과 하늘에 글자 모양의 원리가 숨어있습니다.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사람은 ‘ㅣ’로, 땅은 ‘ㅡ’로 하늘은 ‘.’로 표시됩니다. 사람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하늘의 개념이 오고 소리가 달라집니다. 땅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하늘이 움직이면 소리가 달라집니다. 무슨 뜻이진 모르는 것이 당연하지만 계속해서 그 원리를 설명하면서 밝은 소리와 어두운 소리의 차이를 알려 주고 발음하게 되면 차츰 아이들도 이해하게 됩니다. 또한 자음의 위치가 모음의 왼쪽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모음의 위에 오는지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저의 유튜브 채널에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여러 장의 문제 풀이와 그림을 올리고 싶은데 한 장씩만 올라가는 것 같아서 모음의 원리를 설명하는 그림만 올립니다. 공부하는 순서대로 올릴 예정입니다. 참고하세요.

 

댓글

한글정쌤

안녕하세요, 한글정쌤 입니다.


저는 네이버와 유튜브에서 한글정쌤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국학교 교사입니다.


미국에서 우리말을 배우는 아이

작성
1 2